맨위로가기

무사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사(Muses)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예술, 지식, 특히 시, 문학, 춤과 음악을 관장하는 여신들이다. 어원은 '생각하다', '기억하다'를 뜻하는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9명의 무사가 일반적이나, 문헌에 따라 그 수와 이름이 다르게 나타난다. 헤시오도스는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로 9명의 무사를 언급했으며, 각 무사는 특정 분야를 담당한다. 숭배는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예술적 영감의 원천을 상징하는 단어로 현대에도 사용된다. '음악(music)'과 '박물관(museum)' 등의 단어는 무사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의 여신 - 아테나
    아테나는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 전략적 전투, 공예의 여신이자 아테네의 수호신으로, 제우스의 머리에서 탄생했으며 그리스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예술과 문학에서 상징으로 남아있다.
  • 예술의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학문의 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학문의 신 -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는 헤이안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가, 시인으로, 뛰어난 문장으로 관직에 진출했으나, 유력 귀족들의 반발로 좌천되어 사망 후 원령으로 여겨져 덴진 신앙으로 이어졌으며, 문학적 업적으로 일본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사 (신화) - 테르프시코레
    테르프시코레는 그리스 신화에서 춤과 합창을 관장하는 무사이자 제우스와 므네모쉬네의 딸이며, 리라를 들고 춤추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세이렌을 낳았다는 설도 있다.
  • 무사 (신화) - 멜포메네
    멜포메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비극의 여신으로, 제우스와 므네모시네의 딸이며, 비극 가면, 부스킨, 리라 등을 지닌 모습으로 묘사되고 시인들의 애도 노래를 부르는 존재이다.
무사 (신화)
개요
무사이 그림
"무사이, 기원전 2세기경. 로마 시대의 조각 복제품 (루브르 박물관)"
구분그리스 신화의 여신
역할학예, 기억의 여신
로마자 표기Mūsai
그리스어 표기Μοῦσαι
그리스어 (고대)Μοῦσαι [Moûsai]
그리스어 (현대)Μούσες [Múses]
상세 정보
기원기원전 430년경
어원Μοῦσα (Mousa)
라틴어 표기Musa
수호 영역문학
과학
예술
음악 관련어원: "μουσική (mousikē)"
의미: "무사 (Mousa) 여신들의 관장하는 기예"
관련 예술좁은 의미의 음(音) 예술
낭송되는 시 예술
무용 (리듬으로 통합되는 시간 예술)
가족 관계
아버지제우스
어머니므네모시네
역할 및 상징
기능영감을 불어넣는 존재
숭배 대상문학가
학자
예술가
특징아름다운 여성
예술적 재능 부여
기억력 향상
아폴론과의 관계grc-latn (무사들의 지도자 아폴론)
대중 문화
지칭영감을 주는 존재, 예술적 영감의 원천
관련 용어뮤즈 (Muse)
기타 정보
관련 프로젝트위키프로젝트
관련 분류카테고리

2. 어원

"무사"(Muses)라는 단어(Μοῦσαι|Moûsaigrc)는 아마도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생각하다', '기억하다')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는 무사가 기억과 영감의 여신이라는 점과 관련이 깊다. 다른 설로는 어근 ('솟아오르다, 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는 무사의 주요 숭배지가 산이나 언덕이었다는 점에 근거한다.[3] R. S. P. 비크스는 후자의 어원을 부정하고, 선(先)그리스어 기원일 가능성도 제시한다.[4]

3. 수와 이름

무사의 수와 이름은 문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가장 초기의 기록은 보에오티아에서 발견되며, 일부 고대 권위자들은 무사가 트라키아인 기원이라고 여겼다.[5] 트라키아에서는 3명의 오리지널 뮤즈 전통이 지속되었다.[6]

기원전 1세기에 디오도로스 시켈로스호메로스헤시오도스와 달리 작가들마다 뮤즈의 수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데, 어떤 이들은 3명이라고 하고, 다른 이들은 9명이라고 하지만,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 등 가장 저명한 사람들의 권위에 근거하여 9명이 우세하다고 언급했다.[7]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아홉 뮤즈는 제우스므네모시네의 딸들이며, 지식과 예술, 특히 시, 문학, 춤과 음악을 의인화했다.

로마 학자 바로는 뮤즈가 단지 3명뿐이라고 하며, 멜레테 ("연습"), 므네메 ("기억"), 아오이데 ("노래")라고 불렀다. 플루타르코스의 ''향연담'' 또한 3명의 고대 뮤즈를 언급한다.[8][9]

고전 고대 시대에는 뮤즈는 예술을 구현하고 기억과 즉흥적인 노래, 마임, 글쓰기, 전통 음악, 춤을 통해 창조를 고취하는 아홉 여신으로 여겨졌다.

파우사니아스 (지리학자)는 원래 3명의 뮤즈가 헬리콘 산에서 숭배되었으며, 아오이데 ('노래'), 멜레테 ('연습'), 므네메 ('기억')라고 불렀다.[11] 이들은 종교 의례에서 시적 예술의 전제 조건을 나타낸다.

델포이에서도 세 뮤즈가 숭배되었지만, 네테, 메세, 히파테로 불렸으며, 리라의 세 현의 이름으로 지정되었다.[12] 또는 아폴론의 딸들인 케피소, 아폴로니스, 보리스테니스라고도 불렸다.[13]

이후 전통에서는 네 명의 뮤즈, 텔시노에, 아오이데, 아르케, 멜레테를 제우스와 플루시아 또는 우라노스의 딸이라고 한다.[14]

알크마온에 따르면, 무사는 우라노스가이아의 딸이며, 주로 시가의 형식과 기교를 관장한다.

무사그리스어라틴어이름의 의미
아오이데Αοιδή|아오이데grcAoide|아오이데la노래
므네메Μνήμη|므네메grcMneme|므네메la기억
멜레테Μελέτη|멜레테grcMelete|멜레테la연습



키케로에 따르면, 무사는 제우스와 네다 (또는 플루시아)의 딸이며, 주로 곡예의 형식과 기교를 관장한다.

무사그리스어라틴어이름의 의미
텔크시노에Θελξινόη|텔크시노에grcThelxinoe|텔크시노에la매혹
아오이데Αοιδή|아오이데grcAoide|아오이데la가창
아르케Αρχή|아르케grcArche|아르케la시원
멜레테Μελέτη|멜레테grcMelete|멜레테la실천


3. 1. 헤시오도스의 아홉 무사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무사는 제우스므네모시네의 딸들로, 아홉 자매는 다음과 같다.[7]

로마 석관에 있는 아홉 뮤즈 (서기 2세기)—루브르 박물관, 파리


각 뮤즈와 므네모시네의 상징이 있는 모자이크, 기원전 1세기, 고대 엘리스 고고학 박물관.


귀스타브 모로: ''헤시오도스와 뮤즈'' (1891)—오르세 미술관, 파리


''파르나소스 산의 아폴론과 뮤즈들'', c. 1650, 요한 크리스토프 슈토러. 미국 국립 미술관 소장


무사그리스어|그리스어grc라틴어|라틴어la분야소지품이름의 의미
칼리오페
(칼리오페이아)
Καλλιόπη|칼리오페grcCalliope|칼리오페la서사시서판과 철필아름다운 목소리
클리오
(클리오)
Κλ(ε)ιώ|클레이오grcClio|클리오la역사두루마리 또는 두루마리 보관함찬양하는 여자
에우테르페Εὐτέρπη|에우테르페grcEuterpe|에우테르페la서정시피리기쁨을 주는 여자
탈리아Θάλεια|탈레이아grcThalia|탈리아la희극・전원시희극용 가면・담쟁이덩굴・Shepherd's crook|양치기의 지팡이영어풍요
멜포메네Μελπομένη|멜포메네grcMelpomene|멜포메네la비극만가비극용 가면・포도의 관・Buskin|비극의 신발영어여성 가수
테르프시코레Τερψιχόρα|테릅시코라grcTerpsichore|테릅시코레la합창・무용수금춤의 즐거움
에라토Ἐρατώ|에라토grcErato|에라토la독창수금사랑스러운 여자
폴림니아
(폴리히므니아)
Πολυ(υ)μνία|폴뤼(휘)므니아grcPoly(hy)mnia|폴리(휘)므니아la찬가이야기-많은 찬가
우라니아Οὐρανία|우라니아grcUrania|우라니아la천문지팡이천구의컴퍼스천상의 여자



원래는 특정 분야가 할당되지 않고 음악, 시 창작, 언어 활동 일반을 관장하는 지혜의 여신들이었던 것 같지만, 고전기를 거쳐 로마 시대 후기에는 각 무사가 관장하는 학예 분야가 정해져 현재 널리 알려진 형태가 되었다.

4. 신화

무사는 여러 신화에 등장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기원전 7세기)에 따르면, 무사는 신들의 왕인 제우스와 기억의 티탄 여신인 므네모시네의 딸이었다. 헤시오도스는 무사들이 사람들에게 망각, 즉 고통의 망각과 의무의 중단을 가져다주었다고 이야기한다.[17]

알크만과 미므네르모스는 무사가 더 원시적 존재였으며, 우라노스와 가이아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무사들은 때때로 요정으로 언급되며, 헬리콘 산의 샘과 피에리스와 연관되어 있다.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가 헬리콘 산에 발굽을 닿자 네 개의 성스러운 샘이 터져 나왔고, 여기에서 무사들이 태어났다고 한다.[18][19] 아테나는 나중에 페가수스를 길들여 무사들에게 선물했다.

고전 작가들은 아폴론을 무사의 지도자로 설정했는데, ('아폴론 뮤즈-지도자')라고 불렀다.[20] 한 신화에서 무사들은 아폴론과 마르시아스 사이의 대결을 심판했다. 또한 오르페우스의 시신 조각들을 모아 레이비트라에 묻었다. 후대 신화에서 타미리스는 무사에게 노래 대결을 신청했다가 패배하여 눈이 멀고 노래 능력을 빼앗기는 형벌을 받았다.

파우사니아스는 두 세대의 무사에 대한 전승을 기록했는데, 첫 번째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딸들이고, 두 번째는 제우스므네모시네의 딸들이다. 드문 계보로는 무사가 하르모니아 (아프로디테아레스의 딸)의 딸이라는 설도 있는데, 이는 하르모니아와 카드모스의 결혼식에서 무사가 춤을 추었다는 신화와 모순된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마케도니아의 왕 피에루스가 자신의 딸들이 무사와 실력이 비슷하다고 믿고 무사들에게 대결을 신청했다가 딸들이 재잘거리는 어치로 변했다고 전해진다.[21]

4. 1. 무사의 자식들

칼리오페는 아폴론과의 사이에서 이알레모스와 오르페우스 두 아들을 낳았다.[22] 다른 설에 따르면 오르페우스의 아버지는 오에아그루스였다.

리누스는 아폴론과 칼리오페, 테르프시코레, 우라니아 중 한 명의 아들이었다.[22] 레소스는 스트리몬과 칼리오페 또는 에우테르페의 아들이었다.

세이렌은 아켈로오스와 멜포메네 또는 테르프시코레의 자녀였다. 클레오페메는 에라토와 말로스의 딸이었다. 히아킨토스는 클리오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23]

히메나이오스는 아폴론과 칼리오페, 클리오, 테르프시코레, 우라니아 중 한 명의 아들이었다. 코리반테스는 탈리아와 아폴론의 자녀였다.[24]

5. 숭배

무사는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주요 숭배지는 보이오티아의 헬리콘 산과 마케도니아의 피에리아였다.[25] 헬리콘 산은 무사에게 봉헌되었는데, 이곳을 봉헌한 사람들은 트라키아인들로 추측된다.[25]

무사의 숭배는 아폴론 숭배와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아폴론은 숭배에 헌정된 후 '무사게테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피타고라스는 크로톤에 도착했을 때, 크로톤인들에게 도시 중심에 무세이온(무사의 신전)을 세워 시민의 조화와 학문을 증진하라고 조언했다. 무세이온은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그 학자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무덤 근처에 있는 무세이온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무세이아()는 무사를 기리는 축제로, 보이오티아의 헬리콘 산에서 5년마다 열렸다. 학교에서도 무세이아라는 축제가 기념되었다.

6. 현대적 의미

무사는 현대 영어에서 예술적 영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52] 자신의 예술적 무사를 언급할 때처럼, "amuse(즐겁게 하다)", "museum(박물관)" (그리스어 에서 라틴어화됨 - 무사를 숭배하는 장소), "music(음악)", "musing upon(숙고하다)"과 같은 단어와 구절에서 암묵적으로 사용된다.[53]

유럽의 많은 언어에서는 "음악"을 의미하는 단어, 그리고 "미술관/박물관"을 의미하는 단어가 이 이름에서 파생되었다.

라틴어이탈리아어프랑스어독일어영어
음악
미술관/박물관



고대의 학당이었던 무세이온은, 원래 문예의 여신 무사를 모시는 신전이었지만, 후에 문예·학문을 연구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르네상스 이후 서양에 박물관이 성립되었을 때, 무세이온의 이름이 부활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무사들에 연관되어, 『파르나소스への階梯(계단)』라는 이름의 시학·음악 교본이 많이 쓰였다. 드뷔시의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 차지」에 포함된 제1곡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섬 박사」는, 이것에 연관된 제목으로, 여기서부터 시작되는 모음곡의 시작 곡으로 배치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Grimal, s.v. Muses
[2] 웹사이트 Clio https://lib.ugent.be[...] 2020-09-28
[3]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5] 서적 The Growth of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Cfr. Karl Kerényi: The Gods of the Greeks Thames & Hudson
[7] 문서 Diodorus Siculus http://www.theoi.com[...]
[8] 문서 See also the Italian article on this writer
[9] 논문 The Bee Maidens of the Homeric Hymn to Hermes
[10] 문서 For this list of names and attributes, see Grimal, s.v. Muses
[11]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https://topostext.or[...]
[12] 문서 Plutarch Symposium
[13] 문서 Eumelus of Corinth fr. 35 as cited from John Tzetzes on Hesiod, 23; Tzetzes on Hesiod, Works and Days 6
[14] 문서 Cicero, De Natura Deorum https://topostext.or[...]
[15] 문서 Epicharmis, Tzetzes on Hes. 23
[16] 사전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ww.perseus.[...] London
[17] 서적 Επιστήμη & Ζωή CHATZIAKOVOU S.A.
[18] 웹사이트 Elysium Gates - Historical Pegasus https://web.archive.[...] 2010-02-26
[19] 문서 Ovid, Heroides https://archive.org/[...]
[20] 문서 Plato, Laws
[21] 문서 Ovid, Metamorphoses
[22] 서적 Bibliotheca
[23]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24]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5] 서적 Strabo, Geography
[26] 문서 As given by Grimal, s.v. Muses
[27] 웹사이트 Calliope https://www.worldhis[...] 2024-11-06
[28] 파일 The Muse Calliope by Eustache Le Sueur
[29] 웹사이트 Car of History Clock https://www.aoc.gov/[...] 2024-11-06
[30] 웹사이트 Clio https://www.britanni[...] 2024-11-06
[31] 웹사이트 Who Were the 9 Greek Muses? https://www.thoughtc[...] 2024-11-06
[32] 파일 La musa Polimnia probably by Francesco del Cossa
[33] 웹사이트 Euterpe (music, lyric poetry) (from the Tarocchi series D: Apollo and the Muses, #18) https://www.clevelan[...] Cleveland Museum of Art
[34] 웹사이트 Euterpe de Reedewikster https://www.britishm[...] 2024-11-07
[35] 웹사이트 Terpsichore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024-11-07
[36] 웹사이트 Terpsichore, Muse of Music and Dance https://www.famsf.or[...] 2024-11-07
[37] 파일 Erato monte calvo
[38] 웹사이트 Erato https://www.rct.uk/c[...] 2024-11-07
[39] 웹사이트 Melpomene, Muse of Tragedy https://www.artic.ed[...] 2024-11-07
[40] 웹사이트 Melpomene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024-11-07
[41] 웹사이트 Thaia https://www.britanni[...] 2024-11-07
[42] 웹사이트 Thalia, Muse of Comedy https://www.famsf.or[...] 2024-11-07
[43] 간행물 Mediating the muse : Milton and the metamorphoses of Urania https://repositories[...] 2006-08
[44] 웹사이트 Urania, The Muse of Astronomy https://www.artic.ed[...] 1592
[45] 웹사이트 Urania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024-11-07
[46] 문서 Tzetzes, ''Scholia in Hesiodi Opera'' 1,23
[47] 문서 Calvert Watkins, ed.,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Indo-European Roots, 3d ed., p. 56.
[48] 문서 Strabo 10.3.10.
[49] 문서 Solon, fragment 13.
[5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William Smith, LLD, William Wayte, G. E. Marindin, Ed., Museia https://www.perseus.[...]
[51] Youtube How to pronounce New Orleans Muses Streets https://www.youtube.[...] NOLA.com 2016-11-10
[52] 문서 OED|muse|id=124057 Mainly 1b, 2
[53] 문서 ''[[OED]]'' derives "amuse" from French ''a-'' ("from") and ''muser'', "to stare stupidly or distractedly".
[54] 서적 Politics and the Muse. Studies in the Politics of Recent Americ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Popular Press, Bowling Green OH 1989
[55] 문서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56] 문서 Although usually the daughter of Hyperion and Theia, as in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57] 문서 According to [[Hesiod]], ''[[Theogony]]'' https://www.perseus.[...]
[58] 문서 According to [[Plato]], ''[[Critias (dialogue)|Critias]]'' http://data.perseus.[...]
[59] 문서 In [[Aeschylus]], ''[[Prometheus Bound]]'' 18, 211, 873 (Sommerstein, pp.
[60]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内のムーサイの言及 https://kotobank.jp/[...]
[61] 문서 영어 낱말 music(음악)과 museum(박물관)의 어원이다.
[62] 서적 그리스 신화의 이해 아카넷 2010-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